
외출하기 전에 가장 먼저 봐야하는 것은 바로 날씨 입니다. 요즘에는 어플이 워낙 잘 나와서 미리 알람을 설정해두면 귀찮게 검색할 필요없이 핸도폰 화면만 확인해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대로 알 수 있는 것이 그 주의 것만을 알수 있다는 게 아쉽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지난날씨 달력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어플으로는 지난 날시가 어떠했는데, 작년 오늘의 기후가 어떠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과거의 상황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날씨 달력 검색 위 링크를 통해 네이버 날씨에서 지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를 클릭하면 더 과거의 예보를 달력을 통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 1.위 링크를 통해 접속한 후 [더보기]를 클..

이제는 정말 어린나이부터 주택 청약을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몇십년씩 넣어야지 당첨 확률이 조금이라도 높아지니 그런 것 같습니다. 그 조건이나 점수가 정말 복잡하기 때문에 공부를 해야하고 최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계속적으로 부동산 정책이 바뀌고,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조건이나 용어가 계속 바뀌고 있으니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있어야합니다. 그렇다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인터넷에서 떠돌아 다니는 내용은 자칫하면 너무 예전 정보이거나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먼저 주택청약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기본적인 제도 안내와 자격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한국부동산원에서는 관련된 내용을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한메일은 핫메일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메일서비스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한메일과 핫메일을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볼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네이버나 지메일, 다음메일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메일과 핫메일이 워낙 많은 이용자 수를 자랑했기 때문에 90년대에 대학생이나 고등학생이었던 사람들은 대부분 한메일과 핫메일 주소를 갖고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저 역시 해당 메일 주소가 남아있으니까요. 이번포스팅은 hanmail.net 검색 검색 사이트의 역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사실 한메일(hanmail.net)은 메일서비스만 제공하던 것이아니라 검색기능을 함께 제공했습니다. 즉, 포털사이트로써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 것입니다. 위 사진은 98년도의 한메일 넷입니다. 화면 중간부를 보면 ..